목양 칼럼: ‘The 5 Love Languages(다섯가지 사랑의 언어)’ |
“다섯가지 사랑의 언어”는
개리 채프만 박사가 1992년에 자신의 책에서 개념화 했습니다. 핵심 개념은 “어떻게 사랑하는 마음을 전할 수 있는가”입니다. 이 모델은 교회내의 가족
사역을 위해 개발 되었지만, 지금은 교회 밖에서 더 많이 쓰이는 모델이 되었습니다. 가족들이 사랑 안에서 서로 포용하는 기술을 다룹니다. 1.
인정하는 말 - 상대방의 자발적인 칭찬과 감사하는 말에 기쁨과 행복을 느낍니다.
따라서 '사랑해, 고마워,
잘 했어' 등의 말을 듣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. 또한 친절한 행동에 감사를 표현해 주길 바랍니다. 가족의 경 우는 '표현하지 않아도 다 알겠지'하는 생각 때문에 무심하게 행동할 때가 있는데,
이들은 이런 무심한 행동에 상처를 받습니다. 작은 일에도 고마움을 표현해 주는
것이 필요합니다. 2.
함께하는 시간 - 함께 있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 사랑 받는다고 느낍니다.
함께 시간을 나누면서 하는 일이 무엇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. 다만 함께
시간을 보내는 사람이 소중하고 그 사람과 시간을 공유하지 못하면 애정결핍을 느끼게 됩니다. 함께하는 시간은
서로가 감정적으로 관심을 집중시키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라고 생 각하기 때문입니다. 3.
선물 -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물건을 통해 사랑을 확인받는 사람들입니다.
상대방이 준 선물을 특별하게 기억 하고 간직하기 때문에 선물을 주고받는 것을 좋아합니다. '선물'이라는 사랑의 언어를 물질주의, 속물근성과 혼돈하지
않아야 합니다. 이 사람은 선물에 담겨있는 사랑과 사려 깊음 선물을 준비하기까지의 관심과 노력을 소 중하게
생각하는 것이니까요. 선물은 '당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배려하는 마음'이 담겨 있기 때문 입니다. 4.
봉사 - 제1의 언어가 인 경우는 자신이
원하는 것을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. 식사 준비를 하거나 설거지, 청소, 육아 등 가사노동, 아플 때 다른 사람을 돌보는
것 등 노력과 수고가 필요한 일을 해주는 것이 해당됩니다. 행동하는 것을 의사소통하는 수단으로 생각하는
겁니다.. 상대방을 생각하고 기꺼이 행동해 주는 마음에서 사랑이 전해지는 겁니다. 제 1의 언어가 봉사인 사람은 자신을 위해 행동해주는 것에서 사랑을 느낍니다. 5.
스킨십 - 스킨십은 사랑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.
손을 잡아주거나, 키스를 하거나, 가만
히 안기는 등 신체 접촉을 통해서 사랑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. 연구에 의하면 스킨십을 하지 않은 아이보다
안아주고 보듬어주는 스킨십을 해준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훨씬 건강하게 자랍니다. 따라서 남녀노소 할 것
없이 스킨십은 중요한 사랑의 언어입니다 5가지 사랑의 언어 (생명의 말씀사 출판) 중에서 |